묵상노트

603주일 | 여리고③: 라합 이야기(수6.22-27)

603주일 | 6.22-27

여리고: 라합 이야기

 

하나님의 구원: 혈통인가, 믿음인가.

가나안 7족속들 모두에게는 다 멸망(죽음)이 예고되었다. 라합과 그 가족들 역시 예외일 수 없다. 그러나 그녀는 40년 전부터 이스라엘 광야교회(7.38)에서 불어오는 복음을 맛보고부터(2.9-11), 그리고 요단을 건너 서서히, 그러나 분명한 속도로 가나안을 향해 진군해 오고 있는 이스라엘을 보고 듣게 되자 하나님의 통치 밖에서의 죽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다스림 안에서의 생명을 선택한다(2.4,12-13). 이것은 믿음이 아니고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다(10.17, 11.34). 아무도 거룩한 하나님의 발자국(언약의 성취) 소리를 듣지 못했을 때 유독 라합만은 이 복음을 듣고, 하나님의 말씀을 들음에서 믿음이 나자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지는 은혜와 축복을 얻게 된다.

이로써 구원은 단지 이스라엘 민족이라는 혈통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님을 라합에게서 확인한다(1.12-13). 하나님은 언제나 당신의 거룩한 부르심 앞에 응답하는 자들을 외면하지 않으시며, 구원의 넓은 팔로 안아주신다. 이렇듯 진멸(殄滅, 진멸하라’/herem 7.2; 20.16-18)이라는 완전정복의 대상인 여리고 백성들(가나안의 사람들)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은혜(구원, 긍휼히 여기심)를 입게 되는 자들이 있음이 놀랍다.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에 의해서인가.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라합의 믿음에서다.

그래서 더욱 라합이 귀하다. 비록 비천한 신분(기생)이지만 허물과 죄 가운데 죽은 상태로 사망에 그대로 처해질 수 없다는 결단을 내린다. 심판의 땅 여리고의 바닥에 있으나 구원의 하늘을 보며 살았기 때문이다. 다름 아닌 들은 복음으로 말미암아 믿음으로써다. 이로써 라합은 이제까지보다 앞으로가 더 복 있는 사람으로 살 수 있게 되었다(1.5-6a).

하나님의 구원을 이방인, 그러니까 아브라함의 후손이 아닌 가나안 7족속에 속한 라합에게 임한 것에는 흥미로운 사실이 몇 가지 발견된다. 사실은 아브라함의 혈통이 아닌, 그러니까 이스라엘 백성이 아닌 자들이 출애굽 구원 공동체에 들어온 것은 라합만이 아니다. 이미 수많은 잡족’(12.38)이 이스라엘 백성들과 함께 출애굽을 한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 뿐만 아니라 이들도 역시 홍해를 건너면서 세례를 받고(고전10.2), 광야의 노정에서 반석에서 난 물과 하늘에서 내린 만나를 먹으며 거룩한 성찬에 참여한다(고전10.3-4). 그러니까 수많은 잡족들인 이방인들도 광야교회(7.38)의 일원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라합은 또 어떤가. 그녀는 앞서 수많은 잡족’(12.38)처럼 세례와 성찬도 경험하지 않았다. 또한 아브라함의 혈통도 아닌 비() 이스라엘 백성인 가나안 7족속에 속한 자로서 정복(심판)해야 할 대상이다. 저주(심판) 받은 백성이지 언약 백성은 아니라는 뜻이다. 그런데 구원을 받아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 들어온다. 왜 그런가. 그럼 무엇이 구원을 위해 필요한 것인가. 여호수아서는 라합에게서 그 실마리를 전해준다.

그것은 다름 아닌 하나님을 받아들이는, 곧 하나님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인 것을 믿는 믿음이다: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이는 혈통으로나 육정으로나 사람의 뜻으로 나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들이니라.”(1.12-13) 이 얼마나 놀라운가. 한편에서는 이 믿음이 없어 하나님으로부터 온 심판을 통해 사망에 이르고(여리고 정복), 또 다른 한편에서는 하나님으로부터 온 은혜를 통해 생명에 이르는 일이 일어난다(라합구원). 라합만큼 이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그림이 또 있을까.

 

라 합(22-25)

약속대로 라합과 그와 함께 있었던 모두가 다 구원을 받았다(2.15-21 6.22-25). 그러나 온 여리고 사람들 가운데 오직 라합만이 이 복된 소식을 들음에서 이를 믿음으로 응답한다(11.31, 10.17): “믿음으로 기생 라합은 정탐꾼을 평안히 영접하였으므로 순종하지 아니한 자와 함께 멸망하지 아니하였도다.”(11.31)

약속의 징표로 붉은 줄을 창문에 매놓고 구원의 날을 맞이한다. 하루 이틀 사흘 . 마침내 요단을 마른 땅처럼 건너 여리고성 앞에 도착한 이스라엘, 하루에 한 바퀴씩 성을 도는 자들 가운데 지난 날 자기 집에 머물었던 정탐꾼들을 찾기 위해 집중한다. 그러면서 창문에 매어 놓은 붉은 줄을 확인하고, 또 확인하면서 구원의 날을 기다린다. 그녀는 그 기간 동안에 부모와 형제와 친족들에게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전했다(23, 2.12-14).

여전히 한 사람이 바르게 서면 다른 많은 사람들이 복을 받게 되는 영적인 흐름이 라합에게서도 발견된다(23). 어쩌면 노아의 때를 살았던 사람들처럼 어떤 여리고 사람들은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세인 성을 바라보면서 웃기는 소리 하지 말라!”고 비웃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라합을 통해서 전해 들은 생명의 길에 함께 동승하기를 원하는 믿음의 사람들은 하나 둘 라합의 집에 몰려들었다. 이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장자들과 바로의 백성들의 장자들의 운명을 결정한 첫 번 유월절 그 밤의 역사처럼 유월(逾越, Passover, ‘넘어간다’, 12.27, 16.1-7)의 은혜를 받음으로써 이스라엘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축복을 받는다.

완전정복을 통해 심판과 멸망의 여리고에서 살아 남았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을 받게 되는, 그리하여 이스라엘 공동체에 속하게 되는 유일한 조건은 무엇일까. 오직 믿음이다. 하나님이 하신 일을 듣고, 그 들음에서 믿음을 선물로 받은 자가 하나님의 구원을 얻게 된다. 라합은 이렇게 이스라엘의 구원공동체 안에 모습을 드러낸다.

 

    ▪라합의 과거 복음을 듣다(2.9-11).

    ▪라합의 현재 구원을 받다(22-23,25).

    ▪라합의 미래 다윗의 조상이 되다(4.18-22, 1.5-6a).

 

이스라엘 백성들은 살아서 여리고에 있다. 반대도 가나안 자손들은 죽어서 여리고에 있다. 전자는 구원이지만 후자는 심판을 통해서다. 여리고를 어떤 모습으로 맞을 것인가. 그것은 여리고 백성들이, 동시에 라합과 그와 함께 한 사람들이 답을 알려준다. 여리고는 구원과 심판을 동시에 보여주는 또 하나의 그림이다. 어떻게, 어떤 모습으로 그것을 맞을 것인가. 역시 그 답까지도 이들 두 그룹의 사람들이 보여준다.

그럼 이제 우리 차례다. 구원 받은 자로 여리고에 들어갈 것인가, 아니면 여리고에 들어오는 자들에게 심판 받을 자로 설 것인가. 믿음이 빛을 발하는 이유다. 그렇다. 라합처럼 사는 자에게 미래가 있다. 이것이 믿음의 복이다. 하나님은 지금도 이 은혜의 믿음을 통해 일하신다.

 

   

제목 날짜
612주일 | 아버지 다윗, 하지만 하나님이여!(시3.1-8) 2021.05.09
611새벽 | 지혜살이를 허무는 여우를 조심하라(잠2.13-22). 2021.05.04
610새벽 | 지혜살이가 답이다(잠2.1-12). 2021.05.04
609새벽 | 잠언의 책망: 듣고 돌이키라!(잠1.20-33) 2021.05.02
608주일 | 아이대첩①: 왜 패배인가?(수7.1-9) 2021.05.02
606새벽 | 가나안 스타트(출13.1-22) 2021.04.28
605새벽 | 출애굽.EXODUS(출12.37-51) 2021.04.27
604새벽 | 첫번째 유월절.逾越節.Passover(출12.21-28) 2021.04.26
603주일 | 여리고③: 라합 이야기(수6.22-27) 2021.04.25
601새벽 | 재앙⑦ - 우 박(출9.13-35) 2021.04.21
600새벽 | 재앙⑤⑥ - 악질과 독종(출9.1-12) 2021.04.20
599새벽 | 재앙④ - 파 리(출8.16-32) 2021.04.19
598주일 | 여리고①: 또 하나의 여리고성(수6.1) 2021.04.18
597새벽 | 하프타임.HalfTime: 격려 & 숨고르기(출6.28-7.7) 2021.04.15
596새벽 | 언약(言約)이 해법이다(출6.1-13). 2021.04.14
595새벽 | 첫 탐색전 - 모세 vs 바로(출5.1-21) 2021.04.13
594주일 | 요단 그 이후: 하나님이 하신다(수5.1-15). 2021.04.11
592새벽 | 이스라엘 - 350년 애굽史(출1.1-22) 2021.04.06
591새벽 | 40日 부활행전.復活行傳(눅24.36-53) 2021.04.05
590새벽 | 엠마오 페스티발(눅24.13-35) 202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