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노트

06새벽ㅣ다윗처럼인가? 미갈처럼인가?(대상15.1-29)

06새벽 | 대상15.1-29

•다윗처럼인가? 미갈처럼인가?

   

•다윗은 13장에서의 동일한 문제(case)에 대한 실수를 또 다시 반복하지는 않았다.

이는 언약궤 운반에 관한 말씀과 그 실행의 모습에서 드러난다:

“모세가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 명한 대로 레위 자손이 채로 하나님의 궤를 꿰어 어깨에 메니라.”(15)

 

다윗은 이를 위해 율법을 가까이 했다.

그는 자신의 잘못(죄악)을 정확하게 볼 줄 알았다:

“전에는 너희(레위 자손)가 메지 아니하였으므로 규례대로 구하지 아니하였음이니라.”(13, 민4:5-15, 7:9 참조)

 

사실 다윗은 언약궤를 다윗성으로 옮겨오는 것에만 몰두했지,

언약궤에 대한 하나님의 규례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것이 13장에서 웃사를 통해 맛본 영적 교훈이었다. 

 

우리 역시 때로 자기가 좋(옳)으면 무엇이든 괜찮거나, 이해될 수 있다는 식의 오만을 부릴 때가 있다.

소위 “좋은 게 좋지 않느냐?”, 또는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혹은 “꿩 잡는 게 메”라는 꼴인데,

그러나 성경은 이러한 생각을 결코 옳다고 동의하지 않는다. 

 

다윗은 영적으로 성숙해 간 것이다.

아픈 만큼 성숙하게 된 셈이다.

그는 말씀의 거울에 비추어서 자신의 죄를 씻는다. 

레위 사람 외에는 하나님의 궤를 멜 수 없다.

이 점에 있어서 성경은 단호하다.

이것이 하나님의 명령과 규례에 따른 하나님의 식이어서다(12,14-15). 

사실 수레로 언약궤를 운반하는 것은 이방인의 풍습이었다(삼상6:7-8).

하나님의 법이 이방인의 습관에 밀리는 경우를 목도하게 된다. 그

러나 하나님은 이러한 배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으셨다.

이렇듯 과정(수단)은 결과(목적)만큼이나 중요하다.

그래야만 웃사의 죽음을 결코 헛되지 않게 게 아닌가.

 

한편 이 영광스럽고 복된 날, 율법이 시행되고,

그래서 하나님의 식대로 법궤가 돌아오는 날에 하나님과 반대로 걷겠다는 사울의 딸 미갈을 만난다.

오늘 우리도 다윗처럼인가, 미갈처럼인가를 묵상에 품고 기도와 은혜의 삶 앞에 서 보자.

 

제목 날짜
58새벽 | 복음, 감사로 열매맺기(살전2.13-20) 2019.07.04
57새벽 | 복음, 전하기 & 행하기(살전2.1-12) 2019.07.04
56새벽 | 맛있는 간증을 배송합니다(살전1.1-10). 2019.07.04
55찬양 | 데살로니가전서 맥잡기 2019.07.04
54주일 |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창3.1-21) 2019.07.04
53새벽 | 이것이 나의 간증이요!(시124.1-8) 2019.07.04
52새벽ㅣ'우리' 기도를 깨운다(시123.1-4) 2019.07.04
51수요 | 하나님의 나라를 거역하는 자들(막2.18-3.6) 2019.07.04
50새벽 | 행복한 공동체(히13.18-25) 2019.07.04
49새벽 | 그리스도인입니까?(히13.1-17) 2019.07.04
48새벽 | 화평함과 거룩함을 따르라!(히12.14-29) 2019.07.04
47주일 | 바울고백서(롬7.14-25) 2019.07.04
46새벽 | 믿음행전(히11.23-31) 2019.07.04
45새벽 | 믿음, 지금 여기서 장차를 보는 것이다(히11.13-22). 2019.07.04
44수요 | 복음의 역풍, 믿음으로 건너라(막2.1-12) 2019.07.04
43새벽 | 복음, 믿음 쪽으로 걷다(히11.1-12) 2019.07.04
42새벽 | 진리를 아는 지식 쪽으로 걷다(히10.26-39) 2019.07.04
41새벽ㅣ율법 행위 끝, 은혜 믿음 시작!(히10.19-25) 2019.07.04
40주일 | 형통주의보(창39.1-6,19-23) 2019.07.04
39새벽 |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로 충분합니다(히9.11-22). 2019.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