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기도회

1041수요 | 땅의 신학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3-03-08
성경본문
신명기 8.1-20

B4EB2E4A-BF31-427C-A09E-7060F2423686.jpeg

*사진: 쉬운성경에서 가져옴

 

1041수요 | 8.1-20 (20230308)

수요기도회/김충만 목사/www.yangmuri.kr

 

땅의 신학(약속의 땅)

 

[1] 1.6-8,20-21 - 마침내 이스라엘은 약속의 땅에 들어가 아브라함과 맺었던 언약이 성취될 때다(12.7, 13.14-15, 15.18). 약속(언약)에 의해 주어진 가나안은 전쟁(영적 전투)을 통해서 얻어진다.

 

[2] 3.12-17 -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과 므낫세 반 지파에게 건너가서 얻을 요단 저편에 있는 아름다운 땅이 아닌 요단 동편 지경을 각각 분배한다(12-17). 하지만 하나의 조건(명령)이 추가되는데 그것은 여타 형제 지파들과 함께 요단을 건너가서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주시는 땅을 얻어 기업을 삼기”(20b)에 합력함으로써 너희 형제에게도 안식을 주시”(20a)는 일에 참여해야 한다. 내가 받을 몫은 이미 다 받았다고 해서 요단 저편으로 가는 일을 회피할 수는 없다. 이것은 다른 지파 형제들이 자신들에게 분배된 땅을 위해 싸워주었듯이 저들 또한 동일한 수고와 헌신을 감당해야 한다.

 

[3] 4.1-8 - 약속의 땅 가나안살이는 40년의 광야살이와는 달라야 한다. 그것은 광야에서 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가나안에서 행하며 사는 것이다(1b,5b,14b).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이스라엘의 자의적인 가감(加減, 2)은 결국 진멸’(3)생존’(4)이라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이스라엘이 1-5절처럼 말씀대로 순종하며 산다면 6-8절의 복을 더 하실 것이다. 먼저, 광야의 쓴뿌리(옛성품)가 가나안에 돋아나지 않게 하나님은 열국 앞에 이스라엘을 높이실 것이다(6). 또한 기도에 응답하실 것이며(7), 율법의 다스림을 받는 나라로 높이실 것이다(8). 이 모든 것은 다 율법 위에 가나안을 세워갈 때에 성취된다.

 

[4] 8.1-20 - 8장에서는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얻으리라.”(1)는 하나님의 말씀과, “잊어버리면 멸망할 것이라.”(19-20)는 말씀이 균형을 유지한다. 말씀을 지켜 행하면 얻게 하실 땅(1,6)은 광야(2-5)와는 전혀 다른 삶이 주어질 것이다.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는 축복이다(7-10). 따라서 자수성가(自手成家)의 깃발이 아닌 신수성가(神手成家, 11-18)만을 노래해야 한.

멸망애가(滅亡哀歌, 19-20)는 이스라엘의 몫이 될 수도 있다. 이 비극의 노래가 가나안의 이스라엘 안에 울려 퍼지지 말라는 법이 없다. 하나님 없이 살겠다고 한다면 그 값을 치룰 것이다. 가나안은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성이 아니다.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고, 하나님이 다스리는 땅일 때 의미가 있다. 만일 가나안이 애굽의 수준으로 전락하면 하나님은 가나안을 버리실 것이다.

 

2. 신토신학(神土神學)

 

2.1. 여호와 - 땅의 소유자

 

신명기는 온 땅을 소유하고 지배하는 왕으로서의 하나님이심을 알린다. 하나님은 지금 그 가운데 일부를 이스라엘에게 분배하시면서 이스라엘을 그 땅의 백성으로 세우신다. 이것은 온 땅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드러내는 하나의 과정이다

가나안 정복의 승리는 이스라엘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다. 그 결과 정복은 곧바로 하나님을 두려워하게 하면서 약속의 땅이 성취된다

 

2.2. 땅의 신학

 

2.2.1. 선물로서의 땅 - 첫 단계는 들어가서 소유하는 것”, 즉 이미 ’() 땅을 침입하여 차지하는 것이다. 둘째 단계는 그 땅의 주민을 일소하고 박탈함으로써 증여자 여호와가 드러나는 단계다. 셋째 단계는 땅에 정착하여 적의 위협으로부터 안식을 얻는 것이다.

 

2.2.2. 아름다움으로서의 땅(8.7-10) - 위대한 땅의 소유자가 준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완전한 자족을 의미하는 선물이다.

 

2.2.3. 땅의 언약(5.2-3) - 가나안을 선물로 분배받았다는 것은 땅의 소유자가 제시하는 계약(‘땅의 법’, 12.1,2-26.15)을 준수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 핵심은 땅과의 관계가 아니라 다스리는 자인 여호와와의 관계에서 우상을 만들어서는 안된다(4.15-31). 땅이 아니라 언약이 우선적이기 때문이다

 

2.2.4. 레위인과 땅(10.8-9) - 땅을 가진 자들 위에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권력을 행사하는 땅이 없는 엘리트들이다.

 

2.2.5. 땅의 권리와 정의 - 그 땅 안에 가난한 사람’(15.11)은 항상 존재하며, 때문에 저들과 가진 자들 모두가 다 권리와 정의의 보호를 율법은 요구한다. 이런 맥락에서 정의는 땅의 재분배가 아니라 땅 없는 사람들의 착취를 막는 것을 의미한다.

 

3. 결 론

 

가나안(약속의 땅)은 하나님의 약속(언약)이 성취되는 무대다. 아브라함과의 언약은 하나님의 말씀(율법)을 따라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서 마침내 가나안을 정복하여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땅을 받지만 이 땅은 순종을 먹고 자라고(풍성한 복) 유지된다(보존). 

 

  • 댓글달기
    (3/8) 복음적 평화통일을 위한 100대 기도제목: 회개기도

    06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우리 자신이 삶의 주인이 되어 살아왔음을 회개합니다. 나의 유익과 편리를 좇아 사느라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지 못하고, 성령의 열매를 맺지 못한 모든 죄악을 용서하여 주시옵소서. 구원의 감격을 잃어버린 채 형식적이고 타성에 젖은 예배를 드리며 죄의 습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건의 모양마저 잃은(딤후 3:5) 우리를 불쌍히 여겨 주시옵소서.

    07 풍요 속에서도 청지기의 사명을 제대로 감당치 못하고, 고난 중에 만물을 통치하시는 주님을 원망하고 불평했던 죄(잠 30:8)를 회개합니다. 죽어가는 이웃들과 동포들을 외면하고, 그들을 위해 눈물 흘리지 못한 죄를 회개합니다. 북한 지하교회 성도들이 흘린 순교의 피와 기도의 눈물을 기억하고, 이제 우리가 북한 동포들을 살리고, 남과 북이 손에 손을 맞잡고, 열방을 향해 복음을 들고 나아가는 그 날을 앞당기게 하옵소서.

    08 한국교회가 일제강점기 때는 신사참배라는 우상숭배를 저질렀으며, 동족상잔의 비극 가운데 미움과 다툼과 분열을 퍼트렸습니다. 경제적 발전과 민주화 속에서 물신 숭배와 인간의 이성과 지성을 맹신하였습니다. 십자가의 능력보다는 사람의 영향력을 기대고, 말씀과 제자의 삶보다는 세상의 인정과 안락한 삶을 더욱 추구하였던 죄악을 저질렀음을 고백합니다. 십자가의 보혈로 씻어 주시고 모든 우상을 타파하여 주옵소서.

    09 한국교회가 온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하지 못하고 개교회주의에 빠져 분열과 다툼과 미워하는 모습을 보여 세상에 선한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을 회개합니다. 빛과 소금으로 부르신 주님 앞에서 다시 하나기 원하오니, 회개의 영을 부어주사 마음을 찢고 자복하여 하나 되기를 힘쓰는 한국교회가 되게 하옵소서.

    10 한국교회가 비둘기같이 순결하지도 뱀처럼 지혜롭지도 못하였습니다. 세속적 사고방식으로 한반도를 바라보며, 이념과 사상에 치우쳐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지 못하였음을 회개합니다. 이제는 깨어서 기도하게 하시고, 어떤 상황 속에서도 주를 향한 온전한 믿음과 소망을 가지고, 나라와 민족을 위한 파수꾼이 되게 하옵소서.

1116수요 | 욥기 맥잡기

김충만 목사
20230621
욥기 1.1-5, 42.1-8

1109수요 | 느헤미야의 귀환

김충만 목사
20230614
느헤미야 1.1-2.10

1106수요 | 히스기야(역대하 29-32장)

김충만 목사
20230607
역대하 32.1-23

1099수요 | 분열왕국 스타트: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

김충만 목사
20230531
역대하 10.1-11.4

1097수요 | 사울멸망가 vs 다윗승전가

김충만 목사
20230524
역대상 10.7-14

1091수요 | 예루살렘 거주자들: 出포로기

김충만 목사
20230517
역대상 9.1-34

1086수요 | 엘리야 & 엘리사의 사역

김충만 목사
20230510
열왕기하 2.7-14

1075수요 | 솔로몬: 분열왕국의 씨앗을 심다.

김충만 목사
20230426
열왕기상 11.1-13

1070수요 | 다윗언약

김충만 목사
20230419
사무엘하 7.1-29

1065수요 | 다윗과 요나단, 그 우정과 사랑(삼상20.24-34)

김충만 목사
20230412
사무엘상 20.24-34

1053수요 | 레위인을 위한 48개의 도성

김충만 목사
20230322
여호수아 21.1-42

1047수요 | 라합과 두 명의 정탐꾼

김충만 목사
20230315
여호수아 2.1-24

1041수요 | 땅의 신학

김충만 목사
20230308
신명기 8.1-20

1027수요 | 민수기1 - 옛 세대

김충만 목사
20230215
민수기 1-10장

1021수요 | 성막과 그리스도

김충만 목사
20230201
출애굽기 25-40장

1014수요 | 출애굽 - 구원

김충만 목사
20230125
출애굽기 1-18장

1011수요 | 야곱과 그 아들들

김충만 목사
20230118
창세기 25-50장

1004수요 | 이삭과 그 아들들

김충만 목사
20230111
창세기 25-35장

1001수요 | 족보신학(族譜神學): 아담에서 아브라함까지

김충만 목사
20230104
창세기 5-11장

990수요 | 사람의 본분만이 은혜의 희망이다.

김충만 목사
20221214
전도서 1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