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기도회

[QT06] 573수요 | 묵상으로 가는 길이 있다(1).

설교자
김충만 목사
설교일자
2021-03-03
성경본문
시편 52.1-9

7854F59B-5B76-4DDA-9A1E-30646D893DBB.jpeg

 

  

   [QT06] 573수요 | 묵상으로 가는 길이 있다(1).

김충만. "맛있는 말씀묵상(QT)", pp.9-10. 

 

2.1. 묵상으로 가는 길이 있다.

 

가장 최선의 말씀묵상은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은 이 해답을 어떤 방법론에서 찾으려고 한다. 그래서 자기 마음에 편한 방법이라는 등 뒤에 업히면 묵상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쉽게 예를 들어서, 구구단(공식)을 잘 외웠다고 산수를 잘하는 것은 아닌 것처럼, 혹은 읽고 듣고 말하기에 문제가 없다고 국어(외국어)를 잘하는 것이 아닌 것과 같은 이치다. 이것은 한국(미국) 사람이라는 이유 때문에 모두가 다 국문(영문)학을 전공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우리말을 잘하는 것과는 다른 얘기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묵상은 성경을 읽을 수 있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따라오는 것이 아니다.

 

, 그럼 다시 성경으로 돌아와 보자. 성경에는 신앙의 여러 방편들, 예를 들면 기도나 예배에 대해서는 아주 소상하게 증거하고 있다. 그것이 무엇이며, 왜 우리에게 명하고 계시며, 그것을 통해서 하나님이 사람에게 기대하는 목적이 무엇인가를 말씀한다. 그래서 이것들을 잘 종합하고 체계화시켜서 성경 전체의 사상과 일치시키는 작업을 교회사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도록 진행해 왔다. 이를 한마디로 말하면 신학(神學, Theology)이다.

 

하지만 우리가 다루려고 하는 묵상신학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그것만큼이나 역사가 깊지 못하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20세기에 와서 재발견된 하나의 말씀 회복운동의 한 흐름으로부터 오늘에 이르렀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 말은 오해되어서는 곤란하다. 그러니까 성경에는 원래 묵상에 대해서는 별 이야기가 없었다는 말이 아니다. 또한 성경이 이 주제에 대해서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말 역시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개인적으로 읽고, 생각하고, 이해하고, 통찰하고, 삶의 영역으로 그 말씀을 그대로 가지고 들어가 말씀과 생활을 통합해 내는 그런 의미에서 말씀을 개인적으로 성육신해냄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서야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묵상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이 질문의 대답을 먼저 성경에서 찾아보려고 하는 것이다. 성경의 많은 인물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했다는 기록은 성경에 가득하다. 그런데 하나만 더 깊게 들어가서 그럼 그들이 한 묵상은 무엇인가?”라고 되물으면 대답하기가 참 여러모로 어렵다는 게 사실이다. 왜냐하면 묵상은 단순히 명상이 아니며, 책상에 앉아 이것저것을 생각하는 것만이 아니며, ‘이렇게 살아야지, 저렇게 살아야지라며 결심하는 것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묵상은 하나님의 말씀에 붙잡히는 것으로써 비로소 그 말씀에 내가 인격적으로 반응하며, 그러는 긴 신앙연습의 과정에서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경험하며, 그분이 어떻게 말씀과 더불어 일하시는가를 보는 것, 그리하여 마침내 누가복음 815절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다: “좋은 땅에 있다는 것은 착하고 좋은 마음으로 말씀을 듣고 지키어 인내로 결실하는 자니라.” 이처럼 하나님과의 영적 교통이 삶이라는 현장에서 구체화되는 것이 묵상이다. 그런 의미에서 묵상은 단순히 어떤 사실을 성경으로부터 새롭게 발견하는 것만이, 또한 깨닫는 것만, 또한 새롭게 결심하는 것만이 아니다. 묵상은 이 모든 것을 통합하는 생활 예배다.

 

   [연 습] 시52.1-9

 

    

[QT07] 578수요 | 묵상으로 가는 길이 있다(2).

김충만 목사
20210310
느헤미야 5.1-13

[QT06] 573수요 | 묵상으로 가는 길이 있다(1).

김충만 목사
20210303
시편 52.1-9

[QT05] 568수요 | QT의 ABC.3-적용

김충만 목사
20210224
누가복음 8.9-15

[QT04] QT의 ABC.2-해석

김충만 목사
20210217
누가복음 14.25-35

[QT03] QT의 ABC.1-관찰

김충만 목사
20210203
누가복음 11.5-8

[QT02] QT란 무엇인가?

김충만 목사
20210127
마가복음 1.35

[QT01] QT와의 만남

김충만 목사
20210120
이사야 6.1-13

60강: 마가복음 마무리 -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

김충만 목사
20210113
막 3.35

59강: 종의 고난에서 주의 영광으로!

김충만 목사
20210106
막 16.14-20

58강: 부활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김충만 목사
20201209
막 16.1-13[2]

57강: 다시 사신 그리스도(1)

김충만 목사
20201202
막 16.1-13[1]

56강: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 증인들

김충만 목사
20201125
막 15.33-47

55강: 희롱 당하는 종,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김충만 목사
20201118
막 15.16-32

54강: 빌라도 법정에서 -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김충만 목사
20201111
막 15.1-20

53강: 아직 희망은 있다.

김충만 목사
20201104
막 14.66-72

쥬빌리 통일구국기도회(순회기도회)

온성도 목사
20201028
고후 4.7-11

52강: 거짓증거 - 신성모독이로다!

김충만 목사
20201021
막 14.53-65

51강: 유다의 배신 vs 예수님의 사랑

김충만 목사
20201014
막 14.43-52

50강: 제자들은 부인할 것이고, 예수님은 기도하시다.

김충만 목사
20201007
막 14.27-42

49강: 유월절 만찬: 다락방 이야기

김충만 목사
20200923
막1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