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0수요 | 레위기 8-9장
제사장은 누구인가?
제사장은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자들이다. 따라서 그들의 행동은 그들 역시 거룩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많은 부분 규제를 받는다: “나는 나를 가까이 하는 자 중에서 내 거룩함을 나타내겠고 온 백성 앞에서 내 영광을 나타내리라.”(10.3)
성막에서의 제사에서는 제사장의 역할과 임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제사장의 위임 절차와 첫 제사의 방법, 제사장이 회막에 들어갈 때의 규례를 다루는 부분을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7장 37절의 제사장 위임제에 관한 언급은 1-7장이 제사장(8-9장)에 관한 서술의 배경으로서 앞부분에 놓여진 듯 싶다. 8:1-2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성막과 제사장을 성결케 하라는 명령으로 레위기의 두번째 단락을 시작하고 있다. 하나님의 거룩은 성막(1-7장) → 제사장(8-16장) → 모든 백성과 국가(거룩법, 17-27장)로 확장되고 있다.
(1) 성별(8장)
중요한 것은, 제사장을 세우는 일에 하나님이 아닌 그 누구도 개입되지 않았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대로”(8.4,5,9,13,17,29,36, 9.5,7,10,21) 아론의 대제사장 위임식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생각하게 된다(히9.11-15).
(2) 아론의 첫 제사(9장)
제사의 순서는 언약 관계가 제사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 제사장의 죄가 먼저 해결되고 백성의 죄가 사해져야 하나님과 이스라엘이 비로소 ‘화목’ 관계에 들어간다. 결국 하나님의 임재라는 제사의 목적이 성취된다(4,6,23).
a. 제사의 순서: 속죄제(죄씻음) → 번제(전적 헌신) → 화목제(친밀한 교제)
b.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사함을 받았다면, 그는 자원하는 마음과 기쁨으로 주님께 자신의 전부를 전적으로 헌신하게 된다. 이에 그는 하나님이 주시는 진정한 평안(shalom, 화목)을 누리게 된다.
* * *
제 사 장
1. 역 사: 이스라엘은 [시내산언약]에서 전체가 제사장으로 부름 받았다.
① 멜기세덱(창14.18, 시110.4, 히5.11, 6.20)
② 가정 제사장(아브라함: 창12.8, 17장 / 욥 / 엘가나)
③ 만인 제사장(출19.6, 사61.6)
④ 레위계 제사장(출28.1-3, 민3.1-4, 신10.68, 18.1)
⑤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히3.1, 7.26-27, 8.1- , 10.1- ,12)
⑥ 만인 제사장의 의미(벧전2.9 對 엡4.11-12)
2. 임직식(레 8장)
① 준비(8.1-5)
② 예식 절차(순서)
a. 물로 씻고(정결‧성결, 6)
b. 기름을 붓고(성화‧성별, 10)
c. 옷을 입히고(임직‧임명, 7-9)
d. 피를 뿌리고(헌신, 15)
e. 제물을 바치고(속죄제와 번제, 18-21)
f. 오른쪽 귀‧엄지손가락‧엄지발가락에 피를 바름(23)
3. 기 능
① 제사와 절기: 하나님께 더 가까이
② 율법 강론(신17.18, 31.9, 33.10, 왕하22.8, 렘18.18, 느8.2-10)
③ 축복기도(민6.22-27, cf. 호4.4)
④ 재판(신21.5)
⑤ 우림과 둠밈(신33.8, 삼상14.41-42)
⑥ 전쟁의 선봉(수3.6)
② 제사장이 자신을 위해 번제를 드린다(3,12-14).
③ 제사장이 백성을 위해 속죄제를 드린다(15).
④ 제사장이 백성을 위해 번제를 드린다(16-17).
⑤ 제사장이 모든 사람을 위해 화목제를 드린다(4,18-21).
⑥ 제사장이 백성에게 축복한다(22-23a).
⑦ 하나님의 응답과 백성의 반응(23b-24): “여호와의 영광이 온 백성에게 나타나며, 불이 여호와 앞에서 나와 제단 위의 번제물과 기름을 사른지라. 온 백성이 이를 보고 소리 지르며 엎드렸더라.”